[장혜수의 카운터어택] 혁명적 발전, 점진적 퇴보
장혜수 콘텐트제작에디터 미국 과학철학자 토마스 쿤(1922~96)의 『과학혁명의 구조』 번역서(1980년 이후 여러 차례 국내 번역)를 열어 보긴 했다. 몇 쪽 넘겼지만,장혜수의카운터어택혁명적발전점진적퇴보nft 현명한 투자자 NFT 읽을 엄두는 내지 못했다. 소문대로 어려웠다. 그러다 마주쳤다.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읽기』라는 책. 그 덕분에 쿤 주장의 얼개를 (이해가 아니라) 암기할 수 있었다. 요약하면 이렇다. ‘과학 패러다임은 지식을 누적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며, 새로운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이론이 발전한다→실험이나 관찰에서 지식이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이론을 수정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이론 수정이 불가능한 상황이 생기고, 결국 패러다임 자체를 의심하게 된다 →상황 해결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며, 이를 통해 전보다 포괄적으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새 패러다임으로 이전 패러다임은 비정상적인 지식으로 남는다.’ 잠깐. 이 코너는 스포츠 칼럼 아닌가. 과학으로 칼럼 문을 연 건 패러다임을 바꾸려는 시도였다고 한다면, 쿤을 모독하는 일일 터다. 최근 별세한 운동선수 얘기의 마중물을 찾다가 생각이 쿤까지 흘렀을 뿐이다. 스포츠사에서 가장 혁명적으로 패러다임을 바꿨다고 할 선수. 미국 육상 높이뛰기 선수 리처드 더글러스 포스베리다. 그가 지난 12일, 76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1968년 올림픽에서 배면뛰기로 바를 넘는 포스베리. 스포츠사에서 혁명적인 패러다임 전환 순간 중 하나다. [AFP=연합뉴스] 자신의 이름을 딴 ‘포스베리 플롭’, 우리 말로 ‘배면(背面)뛰기’ 기술을 만든 그 선수다. 설명하면 입만 아플 만큼, 너무도 유명한 기술이다. 모두가 바(bar)를 보면서 뛰어넘던 시절, 그는 바를 향해 등을 돌렸다. 그의 눈은 바 대신 창공을 향했다. 그는 이 기술로 1968년 멕시코시티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다. 그날 이후 세상의 거의 모든 높이뛰기 메달리스트가 이 기술을 썼다. 높이뛰기는 운동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바꾸는 종목이다. 중요한 건 몸의 무게중심(대개 배꼽 근처)을 어떻게 할 것인가다. 포스베리 플롭 등장 전 기술들은 무게중심이 바 한참 위로 지났다. 높이는 게 관건이었다. 그렇지 않겠나. 뛰어올라 바를 넘는 일인데. 새 기술은 몸의 무게중심 통과 높이를 바 근처까지 낮췄다. 낮추는 게 관건이다. 뒤로 돌아 뛰어오른 뒤 엉덩이만 살짝 높여 몸을 U자로 만들고, 마지막에 발만 좀 들어주면 끝. 와우. 쿤은 패러다임 전환이 혁명적으로 이뤄진다고 했다. 점진적으로 바뀐다면 전환일 수 없다. 그래서 발전은 혁명적이다. 그럼 퇴보는? 점진적으로 서서히 온다. 퇴보하면서도 깨닫지도 못한다. 우물 저 깊은 곳으로 조금씩 내려간다. 위를 올려다본 뒤에야 자신이 저 아래에 있음을 깨닫는다. 1라운드 탈락, 1라운드 또 탈락, 1라운드 한 번 더 탈락, 그렇게. 그 사이 누군가는 만화 같은 우승 드라마를 연출했다. 혁명적으로. 장혜수 콘텐트제작에디터
- 最近发表
- 随机阅读
-
- [단독]尹, 이재용
- “2031년까지 연 7% 경제성장”… ‘탈중국’ 수혜 누리는 인도|동아일보
- LS전선, ‘턴키 프로젝트 관리’ 국제인증 획득…아시아 전선업계 최초
- [뉴욕유가] 연준 금리 동결·재고 증가에 하락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에코프로
- "신참 연봉 4000만원 줘도 안와요"…산업현장 일꾼이 말라간다
- [중앙시평] 노벨 과학상과 한국의 과학기술 정책
- 현대백화점그룹 단일 지주사 ‘현대지에프홀딩스’ 공식 출범
- 포스코와이드, 자원순환 플랫폼 ‘자원多잇다’ 확산 위한 협약 체결
- [김소연의 시인이 사랑한 단어] 황인숙, ‘종아리’
- 카카오, 속도 높이던 해외M&A '일시 멈춤'
- 추경호 “경기반등 조짐 확대…10월 수출 플러스 전환 예상”
- 한국이 만든 탑재체, 내년 달 간다…미 우주탐사 협력
- [리더스 프리즘] 집회·시위만 특별대접 안 돼
- [주정완의 시선] 월 100만원 더 줄테니 소아과 지원하라?
- 수출입銀 '4분기 수출 4~5% 증가 전망'
- 北로켓 발사대 장착 시작후 1주일이면 발사가능
- [사설] 올해도 GDP 3% 넘긴 재정 적자…재정준칙 도입 서둘러야
- [강주안의 시선] 사족이 된 이재명의 단식
- [사설] 논란에도 강행하는 정율성 사업, 갈등의 씨앗만 될라
- 搜索
-
- 友情链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