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 즐기러 산행 나섰다 그만…산악사고 땐 이것 확인해야
지난달 대구소방안전본부 대원들 산악사고 대응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대구소방안전본부 지난 10일 오전 11시40분쯤 경북 청송군 주왕산 국립공원에서 76세 남성 A씨가 추락했다. 주왕산 장군봉 인근 바위에서 발을 헛디디면서다. A씨는 10m 아래로 추락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구급대가 현장에서 밧줄 등을 설치하던 중 A씨는 20m 아래로 2차 추락했다. 신고 1시간 뒤인 낮 12시40분쯤 A씨는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고,단풍즐기러산행나섰다그만산악사고땐이것확인해야하나 금융 투자 해외 주식 청송보건의료원 응급실로 오후 3시12분쯤 이송됐지만 결국 숨졌다. 같은 날 오후 2시52분쯤 대구 동구 팔공산 병풍바위 인근에서도 실족 사고가 이어졌다. 팔공산을 산행하던 60대 여성 B씨는 발이 미끄러지면서 비탈길 아래 10m 정도 굴렀다. B씨는 두부 출혈 등 상처를 입었다. 소방헬기로 병원으로 후송됐다. 소방당국은 “산행 중 일어난 사고는 자칫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대구소방안전본부 119구급대 대원들이 산행 중 다리를 다친 등산객을 구조하고 있다. 사진 대구소방안전본부 13일 대구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대구에서 발생한 산악사고는 2020년 350건, 2021년 372건, 지난해 298건 등 총 1020건이 발생했다. 이 가운데 가을철(9~11월)에 30.5%가 발생해 가장 많았다. 사고 원인은 실족 등에 따른 사고 부상(52.4%)과 조난 사고(37.0%)가 사고 전체 89.4%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가을철에 산악 사고가 가장 많은 것은 전국적인 현상이다.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전국 산악사고 구조 건수는 총 3만3022건으로 나타났다. 2020년 1만593건, 2021년 1만2040건, 2022년 1만389건 등이다. 월별로는 날씨가 선선해지는 9월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9월과 10월 두 달간 전체 출동 건수의 25%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산행 도중 사고가 발생할 경우 신고자 또는 구조대상자의 위치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산 지형 특성상 휴대전화로 걸려온 119 신고는 신고자 위치가 다소 벗어나는 경우가 있어서다. 등산로에 설치된 산악 위치표시판이나 간이 구조구급함, 지형지물을 확인 후 신고를 하는 것이 신속한 구조에 도움이 된다. 산악사고 현장에서 환자를 이송하는 구조헬기 모습. 사진 강원소방본부 산악위치표시판 등 특정한 지형지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카카오톡 등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한 내 위치 보내기, 119 신고 앱 활용 신고, 지도 앱 등에서 위·경도 좌푯값 확인 등으로 신고하는 방법이 있다. 대구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등산을 계획할 때 기상 상황을 미리 알아보고 일몰 시각을 고려해 일정을 잡아야 하며, 개인의 체력과 당일 몸 상태를 파악해 적당한 등산 코스를 설정해야 한다”며 “가을철에는 큰 일교차에 대비해 겉옷 등 체온 유지에 신경 쓰고 (산행 중) 술은 절대 마시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소방당국은 등산객이 증가하는 주말에 주요 등산로 입구에서 산악안전지킴이를 운영하고 있다. 또 등산객 안전에 대한 홍보 강화와 등산로 곳곳에 설치된 위치표지판·구급함 등 안전시설물 점검 등 산악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대구=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실족 등에 따른 부상 가장 많아
“구조대상자 위치 확인 매우 중요”
- 最近发表
-
- 현대차, 고려아연 지분 5% 인수..."배터리 광물 전략적 제휴"
- 日 증시 등락 엇갈려…美 고용지표 대기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투자자들, 중국 흔들리자 韓·日·臺 시장에 눈길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日 증시 등락 엇갈려…美 고용지표 대기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포스코와이드, 자원순환 플랫폼 ‘자원多잇다’ 확산 위한 협약 체결
- [김소연의 시인이 사랑한 단어] 최정례 ‘호랑이’
- [이안나의 행복한 북카페] ‘무선택’을 선택하는 이유
- 이창용 총재, 시중은행장들과 가계부채 문제 논의
- 홈쇼핑 ‘블랙아웃’ 도미노 되나…롯데‧현대‧CJ, 송출 중단키로
- [선데이 칼럼] 일본과의 상생, 험로(險路)지만 미래로(未來路)
- 随机阅读
-
- 장수군 농업지방공사 설립 추진
- 한국 오려다 일본 간다…동남아 관광객 막는 ‘K
- 6억 이하 아파트 사라진다…성동·용산엔 씨가 말랐다
- 미래세대 어쩌나…나라빚 1100조 돌파, 1~8월 나라살림도 66조 적자
- [세컷칼럼] “가정 얻고서 꿈도 얻었다…입양은 부담 아니라 축복”
- 케이뱅크 찾은 태국 중앙은행…비대면 금융혁신 성과 공유
- 8월 경상수지도 불황형 흑자…한은 “4분기엔 수출 회복”
- [분수대] 여든의 열정
- KTR, 산업단지공단과 탄소중립 전환 지원 ‘맞손’
- 잘나가던 자동차 수출 ‘프랑스판 IRA’ 장애물 만났다
- 與 노란봉투법? 경제 추락 불러올 망국적 악법
- [리더스 프리즘] 사형제도, 법 따로 현실 따로
- SK에코플랜트, 캐나다 그린수소 프로젝트 풍력부지 확보
- 전남 곡성에 프리미엄 퍼블릭 '르오네뜨CC' 개장
- 서울서 찾기 힘든 ‘중저가 아파트’…매매거래 4건 중 1건만 6억 이하
- [박정호의 시시각각] 흰개미, 진화의 법칙
- 중기부, 제주서 중소벤처 기술혁신 전략방향 모색 포럼 개최
- 기재부 '보조금 카르텔 중단 등으로 예산 23조 절감'
- 서울서 찾기 힘든 ‘중저가 아파트’…매매거래 4건 중 1건만 6억 이하
- 기재부 '조만간 발표할 부동산 대책에 세제·수요 대책 미포함'
- 搜索
-
- 友情链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