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공기업 12곳 '안쓰는 자재 판다'…4000억 비용절감
산업부 '자재 관리 개선 TF' 발족 '자재 관리 소홀' 지적에 대책 마련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viewer
한국전력공사·한국수력원자력 등 에너지 공기업 12곳이 부적절하게 장기간 보관하고 있거나 미활용 상태인 자재관리를 개선해 2026년까지 4000억 원 이상의 비용을 줄이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 석탄회관에서 12개 주요 에너지 공기업이 참여하는 ‘자재관리 개선 전담반(TF)’을 발족하고 제1차 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TF는 지난달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에너지 공기업들의 자재관리가 소홀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마련됐다. 에너지 공기업은 설비가 고장났을 경우 긴급 복구에 사용하기 위해 수리용 주요 자재를 보관하고 있으나 3년 이상 장기간 보관되는 자재들이 1조 6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일부 자재는 장부상 단가가 0원으로 처리돼 자재관리에 전반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산업부는 이날 ‘자재관리 개선 TF’를 구성하고 이달 중으로 에너지 공기업의 자재관리 현황을 전수조사한 뒤 효율적인 관리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26년까지 4000억 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회의에 참석한 공기업들은 자재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유사 발전소 간 자재를 통합 관리해 장기 미활용 자재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또 미활용 자재의 회계 처리 기준을 개선하고 미활용 자재 재활용·재판매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내용 등 개선 대책을 논의했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에너지 요금 조정을 논의하기 전,에너지공기업곳안쓰는자재판다억비용절감기업 자금 조달 방법 에너지 공기업들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구조조정과 경영 쇄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TF 논의를 통해 내년 상반기 중 구체적인 자재관리 개선 대책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련태그 #에너지공기업,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산업통상자원부
- 最近发表
- 随机阅读
-
- [Biz & Now] LGU+, 지상파·종편 VOD 통합 요금제
- [기자의 눈] '한전이 정보 흘린 게 아닌가요'
- "판검사보다 8년 덜 산다"…퇴직공무원 중 수명 가장 짧은 이 직종
- [이하경 칼럼] 일본의 양심과 지성을 기대한다
- 박근혜 "중산층재건 프로젝트 10대 공약 실천"
- 예·적금 금리 낮추는 저축銀, 시중銀에 '역전 위기'
- 이복현 “공매도 불법 보편화 돼…국내 증권사에도 매우 강한 의구심”
- [김병기 필향만리] 삼성
- ‘쪼그라드는’ 전북…국회의원 정수 24석서 9석으로
- 10월 수출 5.1% 증가…13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
- 'ESG 평가, 다른 산업보다 우수'…이자장사 몰이에 억울한 은행들
- 국힘 유의동 정책위의장, 무주서 "윤석열 선택해달라"
- KTR, 산업단지공단과 탄소중립 전환 지원 ‘맞손’
- 저출산 보편복지의 '역설'…아동수당, 중산층 이상에 집중
- 10월 수출 5.1% 증가…13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
- '한끼 295弗인데 손님 80%가 뉴요커'…한식가치 현지서 더 인정
- (주)성현, 새만금 산단에 '이차전지 신산업' 275억원 투자
- [중국읽기] 중국과 대만의 성묘 정치학
- '기촉법 공백 메우자' 금융권, 자율운영협약
- [김병기 필향만리] 열락
- 搜索
-
- 友情链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