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히지 않는 '가계빚'…신용대출마저 늘었다
지난달 신용대출잔액 6081억↑ 주담대도 한달새 3.1조 '껑충' 가계대출 3.4조 늘어 685조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도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6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은행들이 조달 금리 상승으로 줄줄이 대출 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 신용대출마저 2년여 만에 처음으로 전달 대비 증가했다.viewer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10월 말 기준(하나은행은 10월 30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85조 7820억 원으로 전월(682조 3294억 원)보다 3조 4526억 원 증가했다. 은행 가계대출은 1년 5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5월부터 6개월 연속 늘고 있다. 9월에는 전달 대비 1조 5174억 원 증가했는데 이보다 증가 폭이 두 배 이상 확대됐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2021년 11월 이후 꾸준히 감소했던 신용대출 잔액이 대출 금리 인상기에도 불구하고 증가했다는 것이다.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07조 9490억 원으로 9월 107조 3409억 원 대비 6081억 원 확대됐다. 이에 대해 은행권에서는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이나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등 대출 상품 판매가 중단되면서 일부 가계대출 수요가 신용대출 수요로 이동하는 ‘풍선 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10월은 이사철이라 주택 관련 대출 수요가 많은데 최근 당국의 관리 때문에 이 수요가 일부 신용대출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주담대 잔액은 520조 9861억 원으로 전달 517조 8588억 원 대비 3조 1273억 원 증가했고 전세자금대출은 121조 7042억 원으로 전달 122조 1756억 원 대비 4714억 원 감소했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하자 주요 은행들은 대출 문턱을 더욱 높이며 규모 줄이기에 나섰다. 우리은행은 이달 3일부터 주담대 금리를 우대금리 조정 방식으로 0.2~0.3%포인트 인상하고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금리 조정 주기에 따라 0.2~0.3%포인트 올릴 예정이다. 신한은행도 이날 주담대 변동금리를 0.05%포인트 인상했고 KB국민은행도 지난달 11일부터 주담대 금리를 0.1~0.2%포인트 올렸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17일부터 주담대 우대금리를 0.2%포인트 축소했다.
한편 은행들의 수신 경쟁에 총수신 잔액도 전달에 이어 증가했다. 5대 은행의 10월 말 기준 총수신은 1969조 7187억 원으로 9월 1938조 2618억 원 대비 31조 4569억 원 많아졌다. 이 중 정기예금이 855조 9742억 원으로 전달 대비 13조 6835억 원가량 증가했고 정기적금이 44조 3702억 원으로 8414억 원가량 많아졌다. 다만 저원가성인 수시입출식 예금(요구불예금 및 MMDA 포함)은 598조 1254억 원으로 전달 608조 1349억 원 대비 10조 95억 원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잡히지않는가계빚신용대출마저늘었다하나 금융 주식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最近发表
-
- `北로켓 잔해' 분석 착수..미국 로켓전문가 참여
- 日 5월 무역적자 1조3천725억엔…22개월 연속 적자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BOJ 우에다 "일본 경제 회복하고 있어"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안혜리의 시선]"정부는 영원히 피만 빨린다"
- [시선2035] Z세대와 일하기 어렵다고요?
- [시론] 전국 224개 시·군·구에 영화제만 220개
- 전북도, 건설업 부적격업체 16곳 적발
-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 공공연구기관이 함께 추진한다
- 주말만 운전하는 MZ, 자녀 라이딩 엄마 겨냥…진화하는 車보험
- 가상자산 혁신 중심은 스테이블 코인…한국도 제도권 흡수해야
- 随机阅读
-
- 우미건설, 남양주 퇴계원2구역 재개발정비사업 수주
- 신영대 의원 "전통시장 10개 점포 중 4곳 온누리상품권 사용 못해"
- ‘칼부림 공포發’ 소비 감소...서현·신림역 외식
- 산림청, 2022년 녹색도시 우수사례에 완주·익산 선정
- [고현곤 칼럼] 위기 때마다 은행이 문제였다
- [사진] 5년 만에 다 바꾼 ‘디 올 뉴 싼타페’
- 갯벌보전본부 발표 임박, 고창유치 가능성 주목
- 웅치전적지 국가사적 승격 '최종 가결'
- 투자자들 관망모드 속 혼조세…나스닥 0.31%↑
- [이은주의 아트&디자인] 단색화 거장 박서보의 ‘마지막 잎새’
- [사설] 대중 반도체 통제 예외…성과 거뒀지만 안도는 이르다
- 김이재 도의원 "유·무선 설비 확충으로 재난정보 강화"
- 이번엔 글로벌 IB까지 가담한 불법 공매도…“최대 과징금 부과 예상”
- [도쿄증시
- [박선영의 마켓 나우] 재설계 필요한 부동산금융 규제·감독
- 신원식 전 정무부지사, 출판기념회 통해 살아온 삶 회고
- [오늘의 톡픽(TalkPick)] “여기서 살아나가라”
- 신영대 의원 “의원직 걸었던 군산조선소 재가동 이뤄져 남다른 감회"
- [노트북을 열며] 30대 여성 ‘취업 여풍’과 출산율 하락
- [선데이 칼럼] 보선 참패가 국민의힘 총선 승리 ‘백신’ 될까
- 搜索
-
- 友情链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