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중국서 나올 때 정부가 도와줘야” 이창용, 안덕근에 요청
한은·대한상의 공동세미나서 발언 “노인봉양 문제로 생산성 높아질지 의문”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viewer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향해 “국내 기업에 중국에서 빠져나올 때 세금을 포함한 법적인 문제가 많기 때문에 정부가 도와줘야 한다”며 “체계적으로 엑시트(exit·퇴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날 이 총재는 한국은행과 대한상공회의소가 개최한 ‘제2회 공동세미나’에서 이종화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와 대담을 나누던 중 안 본부장을 향해 “중국을 방문할 때마다 한국 기업을 만나면 이런 요청이 있다”며 이같이 발언했다.
이 총재는 인구구조 변화와 관련해서도 고령층 부양 문제로 청년층의 생산성을 높이는 일이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인구가 줄어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높이려면 젊은 사람들이 창의적인 기업을 만들어서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며 “그런데 사회적 제도가 충분치 않으니깐 나이 든 부모가 아프면 일을 그만두고 봉양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총재는 “해외 노동자 유입을 통해 돌봄 등으로 활용하지 않고는 생산성 문제를 해결되지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이 교수도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한국의 고령화가 저출산보다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은 입장에서 국제유가가 가장 큰 고민거리라고도 털어놨다. 이 총재는 “물가가 생각대로 안정되다가 8~9월 유가 변동이 발생하면서 걱정되는 상황”이라며 “국제유가를 배럴당 84달러 정도로 예측했기 때문에 90달러로만 올라가도 예측이 많이 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점령이 1년 이상 이어질 경우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상황이다.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와 관련해서 이 총재는 “글로벌 장기금리는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가 많이 줄었다”며 “재정,기업이중국서나올때정부가도와줘야이창용안덕근에요청주식 포트폴리오 기후변화, 지정학적 문제, 공급망 변화 등으로 미국에선 장기금리가 더 안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最近发表
- 随机阅读
-
- 한·중미 FTA에 '역내 최대국' 과테말라 합류…車부품·커피 개방
- 삼양라운드스퀘어 3세 경영 본격화…전병우 상무 승진
- 라임사태 중징계 박정림 KB證 사장, 지주 총괄부문장 사임
- 너무 비싸서…국산 우유 대신 수입 멸균유 마신다
- R&D 예산 대폭 감축한 정부, 차세대 SMR예산은 크게 늘려
- 삼양라운드스퀘어 3세 경영 본격화…전병우 상무 승진
- "계정 공유는 사랑"이라더니…넷플릭스 "1명당 5000원 더 내"
- [단독] 삼성 승부수는 'AI폰'…갤24 10% 늘려 3500만대 생산
- [오늘의 톡픽(TalkPick)] “꺼림칙한 교제는 아니었다”
- [선데이 칼럼] 비상등 켜진 한국경제 재도약하려면
- 요소수 中의존 71%→91%… 中 수출쿼터제 조짐에 또 품귀 우려|동아일보
- [사설] 다시 유가 초비상…숙제 미루지 않는 게 최선
- [사진의 기억] 설산에 핀 붉은 꽃
- 전세사기 피해 72%가 20·30대 청년…무자본 갭투기 대다수|동아일보
- [김민정의 생활의 발견]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물음표 닮을 일이네
- [이상렬의 시시각각] LH 개혁 못 한 걸까, 안 한 걸까
- 삼성전자, 업계 최대 용량 DDR5 개발 “40년 만에 50만 배”
- [Biz & Now] 한미글로벌, 1000번째 공간복지사업
- [이병훈의 마켓 나우] 반도체 전쟁에서 희생양만 될 것인가
- 최상목 “韓 경제 아직 꽃샘추위…경제 역동성 높일 것”|동아일보
- 搜索
-
- 友情链接
-